제목 | [온라인뉴스]레이저 발톱무좀 치료, 관건은 뿌리까지 제거해야 | ||||
---|---|---|---|---|---|
내용 |
여름이면 여성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발'이다. 샌들이나 슬리퍼 등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리 예쁜 구두라도 발톱이 지저분하면 전체적으로 ‘마이너스’가 된다. 이에 최근에는 발톱에 붙이는 스티커 형태의 패디큐어 등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네일아트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발톱무좀이 있다면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자칫 고온 다습한 날씨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톱무좀이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 균이 발톱에 침투해 생기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발톱 색깔이 하얗거나 노랗게 변하거나 발톱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두께가 두꺼워지고 거칠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발톱무좀을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발 노출이 잦아지면서 발톱무좀 환자가 급증한다. 문제는 발톱무좀의 경우 대다수가 정확하게 판단하기 쉽지 않고,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발톱무좀은 단순히 미용적으로 신경 쓰이는 것뿐 아니라 방치 시 다른 손발톱에 전염되거나 실내화, 발수건 등을 통해 가족 구성원에게 쉽게 옮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발톱무좀 치료방법으로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이 일반적이다. 먼저 바르는 약은 사용법이 간편하지만 약물이 발톱까지 침투하지 못해 치료에 한계가 있다. 반면 먹는 약은 비교적 효과가 좋지만 6개월 이상 복용해야 해서 임신부나 수유, 고혈압, 당뇨, 간질환 환자들은 복용에 부담이 된다. 다행히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손발톱 무좀을 치료하는 방법들이 등장하면서 선택이 폭을 넓히고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는 흉터, 켈로이드 등에 대한 걱정 없이 시술이 가능하고, 멍, 색소침착 등 부작용이 적고 약물 복용에 부담이 큰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에너지를 이용해 손발톱 무좀균에 레이저를 직접 조사함으로써 곰팡이균을 사멸 시키는 핀포인트레이저가 대표적이다. 특히 KFDA와 미국 FDA로부터 발톱무좀치료로 승인 받은 핀포인트레이저는 개인 실손보험(실비)의 약관에 따라 비용 처리도 가능하다. 이상민 강남 아이러브피부과 원장은 “레이저 치료법은 손발톱에 직접 레이저를 조사해 균류를 제거하는 방법”이라며 “균류를 죽이는 효과가 높아 재발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개인마다 효과는 다를 수 있으므로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피부과 등 관련 병원을 통해 세밀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상민 원장은 “발톱무좀 레이저 치료시에는 무좀균을 뿌리까지 제거해야 하고 통풍이 잘 되는 양말과 꽉 끼는 신발보다는 넉넉한 사이즈의 신발을 신고, 귀가 후에는 발을 깨끗이 씻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등의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ㆍ상담문의 : 02-553-1060 ㆍ홈페이지 :http://www.segyebiz.com/newsView/20230722502930?OutUrl=naver ㆍ오시는길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423 한승빌딩 5층 |
||||
첨부파일 |
![]() |